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transcendental" 철학, 소위, "선험" 철학

1.

 

이제껏 내가 용어 ‘형이상학’으로 가리킨 건, 세상을 인간 경험 영역과 그 너머 있으리라 생각(假定)된 것들 모두로 통째로 묘사, 기술하려는 시도들이다. 이 용어가 칸트 저작에서 한층 복잡해지는 까닭은, 그 용어를 혼동하기 쉬운 표현들, transcendental(先驗)과 transcendent(超越)로 명백히 차별화시켜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성을 사용한 자신의 분석적/비판적 탐구를 ‘선험 철학[아 프리오리(경험과 독립된) 요소들에 기초한 철학]’이라 부르며 규정하기를, 이 철학은:

 

이해하기(悟性)과 이성을 다룸에 있어, 주여진 사물을 당연시하지 않고[존재론 없이], 대상-일반을 참작하는 개념과 원리들의 체계로 다룬다. 두 번째(초월)는 주어진 대상들의 총합 - 그 대상들이 감지들에, 당신이 원할 경우, 또 다른 어떤 직관에 포착되든 않든 - 즉, 자연을 참작한다. (Kant, 1787; p.873; 내 강조)

 

    두 번째 ‘초월’에 속하는 모든 건, ‘사색적’이며 ‘경험 가능한 경계를 벗어난 것임을 여러 차례 반복한다. 내 생각에, 그 초월 부분이 합리적으로 납득 불가능한 까닭은, 거기에다는 경험에서 비롯된 <언어와 개념들>이 채택될 수밖에 없고, 고로, <그것들>을 ‘경험 경계 너머까지’ 사용하는 건 <그것들>의 적용 범위가 <그것들>이 형성된 영역 너머까지 뻗어가고 있다는 전제(當然視)를 암묵적으로 수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비코와 견해를 같이하며, 초월적인[일상 경험의 한계를 넘는] 것은 그 어떤 것이든 오직 시적 은유로만 말해질 수 있을 뿐이며, 하여, 신비적 권역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칸트의 ‘선험 철학’은 인간 오성(이해하기)에 대한 순수 합리적인 분석이며, 그것이 제공한 모델은 많은 방면에서 구성론적 방향에 기초 역할을 하고 있다. 

 

 

2.

 

    인과성이란, 이때, 이성이 경험을 이해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자 경험에 박아 넣는 디자인 틀의 일부다. 하지만 그토록 구체적인 디자인은 어디서 온 것인가? 흄의 제안은, 흐르는 경험에서 반복된 지각들의 근접에서 생긴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생각은 간단한 관찰로 즉각 퇴짜 당한다: 우리 경험에서, 낮은 밤에 또한 밤도 낮에 인접함에도 하나를 다른 하나의 원인으로 간주하는 건 터무니없다. 칸트한테, 인과 관계는 우리 생각하기 그 시작부터 고유한 ‘종합적 아 프리오리’ 범주였다. 그한테, 인과성은 플라톤의 이데아와 같은 의미로 타고난(天賦的) 또는  신이 부여한 것이 아니라, 이해하기(悟性)의 생산자로서 이성이 그 자신의 합리적 그림 생성을 위해 필요했던 발견적 허구들 중 하나다.

 

    이와 같은 순환성의 특징은, 칸트의 선험 철학에서만이 아니라, 경험에서, 에다, 일관된 세계 그림(象)을 생성시키는 방식과 같은 여하한 합리적 모델 구성 시도에서도 불가피한 것이다. 바로 이것으로 신비주의자들이 시적 은유로 메우고 있는 협곡(峽谷)들이 연결된다. 순환성이란 피해갈 수 없는 것임을 구성론자는 잘 알고 있다 – 하지만 이것을 최소로 줄이고 싶어 한다. 인과성의 경우, 그럴듯한 개념적 분석은 훨씬 이후 삐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에 이르러서야 제공되었다. (3장을 보라) 

 

3.

 

알기 문제에 대한 이러한 접근으로, 경험론은 한 바퀴 돌아 자신의 원래 취지(趣旨)인 경험 세계 검토하기로 돌아왔다. 경험론은 출발하며, 경험 세계가 머지않아 그 너머 존재적(ontic) 세상, 객관적 실재 세상의 어떤 것을 드러낼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희망은 성취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우리가 경험 세계 탐구를 계속 이어 갈려면, 우리는 반드시 칸트의 ‘transendental enterprise[아 프리오리(경험과 독립된) 요소들에 기초한 기획, 소위, 선험 철학적 기획]’의 정신 안에 있어야 한다: 말인즉, 우리는 <우리 발달의 일정 지점에서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알아차리는 외관상 안정된 세계를 우리가 갖게 되는 방식을 밝혀낼 의도>을 반드시 갖고 있어야 한다. 

 

RC(1995)의 개념적 네트워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