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귀납적 추리(inductive reasoning)

1.

우리 경험 세계를 개념적으로 조직화하는 데에 탁월한 깜냥을 지닌 반성적 추상의 특별한 결과가 하나 있다. 잠깐의 반성으로 이전에 사물들과 행위 스킴들에 대한 바이어블한 개념들을 야기했던 기본 절차를 알아보고 격리(孤立)시킨 경우, 이 절차 자체로 그 자체에 적용될 수 있다. 간략히 말해, 아래와 같다. 대상 개념과 스킴의 구성에서 그 핵심은 귀납적(歸納的)이다. 수많은 경험 상황에서 재발하는 특정 감각 아이템(項)들은, 실험관찰적 추상으로, 다소 안정된 패턴들 형성을 위해 보유(保有), 정렬[‘coordination’은 위계의 특정 차원이나 수준, 혹은 특정 동일 시공간에서 요소들을 일정한 형식 또는 구조로 배열]된다. 이들 패턴들이 새로운 경험들을 동화시켜 평형을 유지하거나 복구시키는 용도로 쓰이는 한, 그것들은 바이어블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단순 귀납 원리 형식, 즉, ‘과거 성공적으로 기능했던 것 보유하기’는 추상될 수 있고, 그 자체로 작동될 수 있다: 그 귀납적 절차는 성공적 절차였기에, 자신이 채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들을 발생시키는 것은 이득이 될 수도 있다. 고로, 이 지점에 반성적 추상으로 도달했던, 그리고 당면 실제 문제의 압력에서 잠시 벗어난 생각하기 주체는, 상상으로 소재를 창조할 수 있고, 다가올 상황에서 쓰이게 될 수도 있는 이것에서 반성적 추상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경험에서 실제 발견된 소재를 수반할 수도, 또는, 상상적 소재를 쓰는 사고 실험의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2.

배우기 메커니즘

http://www.cysys.pe.kr/zbxe/RRC/324571

 

3.

도구적 배우기의 귀납적 기초

http://www.cysys.pe.kr/zbxe/RRC/324573

 

RC(1995)의 개념적 네트워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