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구성하기 에이전트들: 자아와 타자들

제 6장   구성하기 에이전트들: 자아와 타자들** 

 

** 6장에서 나타내진 상당수의 관념들은 글라저스펠트, 1979와 1989b로 처음 출판되었다. 

  

                                                                                                                            

 

 

약 2500년 동안 서양 세계의 지식에 대한 압도적 사고 경향은, 지식을 알기 주체와 독립된 외부 세상에 대한 재현(表象)으로 보는 것이었다. 그러한 재현은 그 세상의 구조와 그것이 작동할 때 따르는 원리들의 적어도 일부나마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 그림은 여전히 전적으로 완벽한 것은 아닐지라도 원리에서는 완벽해질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초상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 조각 지식의 ‘우수성’은 그 조각이 ‘실재하는’ 사물과 얼마나 잘 대응하고 있는 지로 판단되어야 했다. 앞선 장(章)들에 펼쳐진 이유들로 보면, 이러한 생각하기 방식은 구성론의 관점에서는 바이어블할 수 없다. 하지만, 지식이 객관적 세상과 반드시 그 어떤 대응 관계든 가져야 한다는 점을 거부한다면, 지식과 관계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며, 무엇이 지식에 그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인가? 

 

    이것이 심각한 문제가 되는 까닭은, 우리가 그러한 관계란 있을 수 없다고 말할 경우 우리는 자신이 유아론(唯心論)에 빠졌음을, 그에 따라 그 마음은 그리고 그 마음 홀로 세계를 창조하고 있음을 발견해야 하기 때문이다. 설명 모델로서, 유아론 학설은 그리 유용하지 않다. 실상, 그것은 결단코 모델이 아니며 그 어떤 것도 설명하고 있지 않다. 유아론은 세상의 본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진술이며 개체가 자신의 세계를 창조하기 시작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에는 나몰라라 한다. 자율적 ‘의지’를 불러일으킬 경우 (이를테면, 쇼펜하우어, 1819), 외관상 일관성을 획득하려면 상당히 강력한 ‘와일드 카드들’이 신비주의에서 차용되어야 한다. 유아론은, 실제, 우리가 이랬으면 하는 세계는 거의 있을 수 없다는 경험으로 매일매일 반박당하고 있다.

 

    구성론은, 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실존할 수 있는 것, 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그 어떤 할 말도 없다. 구성론은, 존재 이론이 아닌, 알기 이론으로 의도된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원하는 그 어떤 것도 성공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해 결정적인 두 가지 원리가 있다.

 

    첫째, 인지적 유기체들은 지식을 재미로만 획득하지 않는다. 그들 경험에 대한 태도들을 발달시키는 것은 그들 경험의 어떤 부분들은 좋아하고 여타 것들은 싫어하기 때문이다.

 

… [인]간들은 잠자코 머물러 있지 않고 끊임없이 목표를 추구하거나 요동들에 대해, 규율(規制)들을 형성하는, 능동적 보상으로 반응한다. 이로부터, 모든 행위는 그 전체 시스템과 연결될 필요 때문에 발(發)해지며, 마찬가지로 그 전체 시스템에 의존하는 가치들은 모든 행위에 그리고 그 실행에 유리한 또는 불리한 모든 상황에 붙어 있다. (Piaget, 1970c, p.38) 

   

    그 결과, 인간 행위들은 맘에 들었던 경험들은 반복하고 싫었던 경험들은 회피하려는 가운데 목표-지향적이 된다. 목표 성취에 시도되는 행위 방식은, 규칙성들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좀 거창하게 말하면, 경험 세계에는 인지 가능한 질서가 있다는 전제(當然視)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생물학자로서 움베르토 마투라나는 말했다:  

 

생명 시스템은, 자신의 순환적 조직화로 인해, 귀납적 시스템이며 항상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한번 일어난 것은 재발할 것이다. 그 시스템의 (유전적 그리고 그밖에) 조직은, 보수적이며, 오직 작동하는 것만을 반복한다. (Maturana, 1970a, p.39)

 

    지식의 한 종류는, 그래서, 과거에 작동했기에 재차 작동하리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원리는, 구성론적 조망에서 지식은 세상에 대한 ‘그림’이 아니라는 점이다. 지식은 결단코 세상을 재현(表象)하고 있지 않다 – 지식은 행위 스킴, 개념, 생각(思想)들로 이루어지며, 그것들 가운데 유익한 것으로 간주된 것들과 그렇지 않은 것들을 구별한다. 달리 말해, 지식은, 그/그녀가 세상을 경험하는 것처럼, 인지하기 주체가 그 세상에 맞아들어갈 목적으로 개념적으로 진화시켜 왔던 방식과 수단들이다.

 

    이와 함께, 우리가 통상 ‘사실(fact)’이라 부르는 것들은 관찰자와 독립된 세상의 요소들이 아니라 관찰자가 경험한 요소들이다. 1710년 비코가 주목한 대로, 단어 factum은 ‘만들다’에 상응하는 라틴 단어의 과거분사이다. 이것을 실마리로 그는, 인간들은 그들이 접근할 수 있었던 요소들을 모아 만들었던 것들만을 알 수 있다는 인식론적 원리를 정식화했다.

 

    접근 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질문은, 경험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모든 논의에서 결정적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는 경험론의 초기로 되돌아가 로크가 관념 생성의 상이한 두 개의 원천들로, 하나는 감지(sense)들, 다른 하나는 반성을 제안했음을 알았다. 이어 칸트는 영국 경험론자들 이후 실재론의 모든 잔재(殘在)를 받치고 있던 깔개를 잡아 빼버렸다. 공간과 시간은 실재하는 세상의 속성들이라기보다는 인간 경험하기 방식의 특징적 형식들(Anschauungsformen 直觀–形式)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제안함으로써, 칸트는, 우리의 경험적 절차들을 거치기 이전, 세계를 시각화하거나 마음에 그릴 모든 가능성을 제거해버렸다. 우리가 이러한 견해을 수용한다면, 우리는 우리 스스로 ‘실험관찰적으로’ 검사할 수 있으면 그 무엇이든 ‘철학적으로’도 수용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공간 and/or 시간>으로 틀 잡히지 않은 것은 볼 수도, 만질 수도, 들을 수도 없으며, 그리고 정말이지, 아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우리가 ‘구조’라 부르고 싶은 모든 것들은 공간과 시간에 의존한다. 고로, ‘존재적(ontic)’ 실재 비슷한 것이 무엇이든 그것에 대해, 우리가 구조로 알아볼 수 있는 것을 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넌센스다.** 

 

** 이것이, 바로, 신비주의자들이 ‘하나됨(oneness) 또는 일체(一如)’와 같은 단어들을 은유적으로 사용할 때 우리가 맞닥뜨리는 고충의 한 가지 뿌리다; 이 단어와 연합된 개념의 구성에는 배경으로부터 분리와 유계(有界)를 갖는 단위가 수반된다; 이에 반해, 신비주의자들의 그러한 생각은 무한과 모든 것을 포괄하고자 하기에, 그러한 생각에는 여하한 배경도 있을 수 없는 것이다.

 

 

RC(1995)의 개념적 네트워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