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용어 '전제/가정'의 용법들 차이에도 불구하는 공통되는 의미

 이 텍스트에서, 

한국어로 전제, 가정으로 번역되는 필자가 사용하는 용어들로, 

‘assumption(assume)’, ‘presume’, ‘presupposition’, ‘premise’, ‘supposition(suppose), 그리고 ‘posit’이 있다. 

 

앞서 둘은, 

<이론 출발 기초로 삼는 참으로 또는 진짜로 여겨져 당연시 되는 것>에, 

그래서, 검증될 필요가 없는 수학에서 공리(axiom, postulate)와 같은 것들이다. 

 

세 번째는, 

말 그대로 다른 가정들보다 앞선 가정, 거의 당연시되는 것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네 번째는, 

경험과는 무관하게, 전적으로, 

논리적 전제(삼단논법에서 대전제 또는 소전제처럼)를 가리킨다. 

 

네 번째는 

앞서 당연시될 정도는 아니지만 상당한 개연성을 갖고 거의 그러리라, 그래서 

검증 또는 실험이 필요한 가설(hypothesis)과 동등한 것이다. 

 

마지막은, 

가정이나 가설보다 더 믿음이 덜 가는 

그러리라 여기지만 그 가능성이 더 낮은 가정에 쓰인다. 

 

그래서, 

첫째부터 넷째까지는 ‘전제’로 번역하되,

첫째와 둘째는 ‘전제(當然視)’로 표기하고, 

셋째는 전제(先假定)으로, 

네째는 그냥 ‘전제’로, 

다섯째는 가정(假定)으로, 

여섯째는 설정(設定) 또는 단정(斷定)으로 번역하는 것을 방침으로 한다.

 

이 모든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것들의 공통점은, 

논리적 차원에서는,

존재하는, 즉, 시작점으로 인정되는, 말인즉,

그것에 대해 우리가 참이다 거짓이다 하는 판단과 무관하게,

그것을 출발점으로 당연시하는 것으로 허용된다는,

논리적 출발점으로 당연시 했다는 점이다.

RC 관련 용어와 번역 지침의 다른 글